윤앤리 - 의료 x 공학
[] 장애등급되는지요
답변
슬관절의 인대와 연골 손상에 대한 장해를 문의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을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슬관절의 인대는 양측부인대와 십자인대, 반월상연골, 경골그,슬개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반월상연골손상, 십자인대파열, 인대절단의 부상을 입으셨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장해를 안내드리면 반월상연골 손상은 절제란을 전적출술, 아전적출술 및 부분절제술로 구분하여 맥브라이드 장해평가에서 관절강직 장해를 준용하고 있습니다. 반월상연골절제술 후 10년 이상 경과하면 반수 이상이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게됩니다. 부분 절제술은 그보다 결과는 양호하나 반월상연골 변연부를 포함하는 아전 적출술은 전적출술과 결과가 유사합니다. 슬관절 십자인대 손상 후 시행되는 재건술은 전후방 불안정을 교정하는 것으로 수술 후 그 불안정이 교정된다 하더라도 상당 기간이 경과한 후 관절염의 발생율이 수상하지 않은 관절에 비해 현격히 높다고 합니다 또 성공적으로 재건술이 시행되었다고 해도 평균 9개월 내지 1년 이상 장애 판정받아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십자인대의 상태를 판정하는 전후방 불안정은 양측의 차이가 2mm 이하이면 정상 범주로, 3-5mm이면 부분 손상으로, 6mm이상이면 완전 손상으로 판정합니다. 또 방사선 측면 사진을 슬관절 20도 굴곡 상태에서 전방력을 가하여 촬영하고 좌우측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측정하면 전십자 불안정을 평가할 수 있고 또 슬관절을 90도 굴곡 상태에서 후방력을 가한 상태에서 촬영하여 좌우측을 비교하면 후십자인대 불안정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실무적으로는 29%의 장해를 기준으로 3/4, 1/2, 1/4로 구분하여 판정하고, 보건복지부 장애등급은 동요관절은 고정장구 장착의 필요정도에 따라 인정합니다. 사고초기로 아직은 치료를 받으셔야 될 부분으로 충분한 치료후 전문가와 상의하셔서 처리하시는 것이 바랍직할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부칙] 제1조(시행일) : 이 약관은 2015년 11월 10일부터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