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고하십니다.
이 싸이트에 방문해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만 궁금한 것이 있어 글을 올립니다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
교통사고관련 법률상담자료
1. 가해자 : A - 미성년자(1988.07) 운전 면허증 있음
2. 보호자 : 父, 母
3. 피해자 : 기 - 미성년자(부모 생존)
4. 관련자
나모씨 - 사고 자동차 소유자(1980.06生), 무보험(책임보험 미가입)
김모씨 - 사업주로 가해자A를 아르바이트생으로 고용하여 사고 차량을 운전하게함.
보험회사 -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7조 및 동법 제26조제1항에 의한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자(구상권 청구자)
5. 사건개요
가. 사고일시 : 2007.09.21. 06:30분경
나. 사고경위 : 가해자는 사고차량을 운전하여 횡단자를 사망케한 사고
다. 사고차량 : 나모씨가 김모씨에게 무상으로 양도하였으나 이전 및 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영업용으로 김모씨가 아르바이트생이 운전하게 허용.
6. 진행상태
가. 민사합의 및 집행유예 결정
나. 가해자 父가 나모씨를 상대로 6천만원의 채권확보(공정확인 2007.11.15)
다. 보험회사로부터 1억중 가해자 부모가 변제한 52,200천원(공탁 20,000천원, 2007.11.16자 20,000천원, 매월분할변제 12,200천원)을 제외한 47,800천원과 비용을 나모씨(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한 채무자)와 가해자 및 가해자 부모(연대보증인)에게 구상권을 청구함
1) 송달일시 : 2008.09.08
2) 이의신청기한 : 2주내
3) 손해배상책임의 법적 근거 :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자
7. 상담사항
가. 이의신청에 따라 민사소송을 할 경우 득실 및 판결결과 예측
나. 청구취지 및 청구원인 답변서 작성 : 주장요지, 쟁점사항, 대처방안
다. 차량소유자에게 받은 채무확인 공증 처리방법
라. 사업주 김모씨에 대한 대응방안
마. 기타 향후 발생이 예상되는 문제 및 대처 방안
바. 가해자 부모의 책임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사. 가해자의 책임한계는?
답변